神出鬼沒 (신출귀몰)

神出鬼沒(신출귀몰)

神 귀신 신 | 出 날 출 | 鬼 귀신 귀 | 沒 없어질 몰 |

귀신과 같이 홀연히 나타났다가 감쪽같이 없어짐. 자유자재로 出沒(출몰)하여 그 변화를 헤아릴 수 없는 일을 일컫는 말이다.


前漢(전한)의 淮南王(회남왕) 劉安(유안)이 엮은 '회남자'의 兵略訓(병략훈)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用兵(용병)에 능한 자의 행동은 귀신이 나타나고 돌아다니는 것[神出而鬼行․신출이귀행]과 같이 신속하고 임기응변으로 움직여서 별이 빛나는 듯 하늘이 순환하는 듯하는 것이다. 그 나아가고 물러남과 굽히고 펴는 것은 아무런 예고도 없고 또 흔적도 남기지 않아, 난조(鸞鳥:전설 속의 새이름)가 일어나듯, 기린이 떨치고 일나는 듯, 봉황새가 날 듯, 용이 오르듯, 추풍과 같이 출발하여 놀란 용과 같이 빠르다.

이 말은 아군의 세력과 계략 등이 적군에 看破(간파)되어 대책을 세울 수 있게 한다면 교묘한 용병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黃石公(황석공)이 劉邦(유방)의 공신인 張良(장량)에게 주었다는 兵書(병서) '三略(삼략)'에도 '神出而鬼行'이라는 말이 나온다.

神出而鬼行은 神出鬼沒과 같은 뜻이겠지만 唐(당)나라때의 ‘戱場語(희장어)’ 에는 제대로 갖춘 표현이 나온다. “머리 두 개에 얼굴이 셋인 귀신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다(兩頭三面 神出鬼沒․양두삼면 신출귀몰).” '水滸誌(수호지)'에도 神出鬼沒이란 표현이 보이는데 모두‘회남자’나 ‘삼략’ 에서 유래한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로 춘추시대 齊(제)나라의 병법과 孫武(손무)의 병서인‘孫子(손자)’ 軍爭篇(군쟁편)에 進退(진퇴)가 바람처럼 신속하다는 ‘疾如風(질여풍)’이란 표현이 나온다. 전투에 있어서 군의 진퇴는 ‘바람처럼 신속하게’ 하라는 뜻으로 쓰였다. 그러나 ‘질여풍’은 ‘신출귀몰’ 에는 훨씬 미치지 못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神出而鬼行(신출이귀행)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