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燭殘年 (풍촉잔년, fēngzhúcánnián)

풍촉잔년(風燭殘年)

风烛残年, 風燭殘年, fēngzhúcánnián

風 바람 풍 | 燭 촛불 촉 | 殘 남을 잔 | 年 해 년


'바람 앞의 촛불처럼 얼마 남지 않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고시(古詩)와 《열자(列子)》 등에서 유래되었다.

Old and ailing like a candle guttering in the wind


'풍촉'과 '잔년'이 합쳐진 고사성어이다. 풍촉은 《악부시집(樂府詩集)》에 실려 있는 작자 미상의 〈원시행(怨詩行)〉 등에서 유래되었다. 이 시는 "하늘의 덕은 아득하고도 길건만, 사람의 목숨은 어찌 이리 짧으냐. 백 년도 못 채우는 목숨이건만, 바람 앞의 촛불처럼 위태롭구나(天德悠且長, 人命一何促. 百年未幾時, 奄若風吹燭)"라고 읊어, 바람이 불어 언제 꺼질지 모르는 촛불처럼 미약하고 짧은 인생에 대하여 탄식하고 있다.

잔년은 《열자》의 〈탕문(湯問)〉편에 실려 있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90세나 된 우공이 산을 옮기려 하는 모습을 보고 하곡(河曲)에 사는 지혜로운 노인이 웃으면서 "매우 어리석도다! 얼마 남지 않은 인생의 여력으로는 그 산의 터럭 하나조차 헐지 못할 것이니, 흙과 돌은 어찌 하려누(甚矣汝之不惠. 以殘年餘力, 曾不能毁山之一毛, 其如土石何)"라며 그만두라고 말렸다. 그러나 우공은 멈추지 않았고, 이에 감동한 천제(天帝)가 산을 옮길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이상의 두 가지 성어가 합쳐져서 이루어진 풍촉잔년은 나이가 많이 들고 체력도 쇠하여 앞으로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참조어

愚公移山(우공이산)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