溫故知新 (온고지신)

溫故知新(온고지신)

溫 익힐 온 | 故 옛 고 | 知 알 지 | 新 새 신 |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안다. 역사와 지난 날의 학문을 충분히 익힘으로써 새로운 사실과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는 말이다. 오늘을 알기 위해 어제를 알고 내일을 내다보기 위해서는 오늘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이 말은 ‘논어’ 爲政篇(위정편)에서 공자가 한 말 “옛 것을 익혀 새로운 사실을 알면 가히 스승이 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에서 나온 것이다.

공자가 말한 ‘故’ 란 과거의 事象(사상) 곧 역사란 뜻이다. ‘溫’ 이란 고기를 약한 불로 삶아서 국을 만든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역사를 깊이 천착함으로써 현대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는 태도가 溫故知新인 것이다. 공자는 옛 것을 숭상하는 尙古(상고)주의에 투철한 인물이었다. 그는 최고의 정치가 행해진 때를 堯舜(요순)시대로 보았고 가장 덕 있는 군주로는 周(주)나라를 창건한 文王(문왕)과 그 아들 武王(무왕)을 꼽았고 가장 완성된 인격은 무왕의 아우 周公(주공)과 伯夷叔齊(백이숙제)를 쳤다.

공자는 이들의 언행을 본받음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사회가 건설될 수 있다고 보았다. 논어에는 공자가 역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대목이 많다. 예컨대 '10代(대)가 지난 뒤의 일을 지금 내다볼 수 있겠습니까' 하는 제자 子張(자장)의 물음에 공자는 이렇게 대답한다.

殷(은)나라는 夏(하)나라의 禮法(예법)을 이어받았다. 두 왕조의 예법을 비교해보면 그 같고 다름을 알 수 있다. 지금의 주나라도 은의 예법을 답습하고 있다. 여기서도 양자의 같고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보아 주나라를 계승하는 왕조가 있다면 10대가 아니라 백대후라도 대체적인 예측은 가능하고 어제까지의 역사를 천착해보면 오늘은 물론 내일도 내다볼 수 있다.

2 comments:

  1. 옛 것과 새로운 것의 관계에 대한 이분법적 시각은 대립과 단절만을 만들어낸다. 구세대와 신세대, 여기에 쉰 세대와 낀 세대, X세대와 Z세대라는 표현들은 모두 지혜롭지 못한 생각에서 나온 말들이다. 올챙이를 한자로 과두(蝌蚪)라고 하고, 올챙이 적을 가리켜 과두시절(蝌蚪時節)이라 한다. 올챙이 없는 개구리, 개구리 없는 올챙이는 존재할 수 없다.

    선인들의 지혜가 응축되어 있는 고사성어(故事成語)야말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반성과 발전의 실마리를 제시해 주는 가장 적절한 溫故知新의 도구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우리말의 복습(復習)을 온습(溫習)이라 표현하고 있으니, 이는 배운 것을 익히고 또 익혀 늘 가슴 속에 간직한다는 의미이다.

    ReplyDelete
  2.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임직원들의 ‘역사관’ 확립을 강화하기로 했다. 논어에 나온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말처럼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현대·기아차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창의적인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13.10.31)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