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語花 (해어화, jiěyǔhuā)

解語花(해어화)

解语花(jiěyǔhuā)

解 풀 해 | 語 말씀 어 | 花 꽃 화 |


'말을 아는 꽃'이라는 뜻으로, ①'미녀(美女)'를 일컫는 말 ②'기생(妓生)'을 달리 이르는 말


개원(開元)의 치(治)라는 칭송을 받았던 당(唐)나라 현종(玄宗)은 얼마 뒤 국가 재정의 곤란과 양귀비(楊貴妃)와의 사치한 궁중 생활 때문에 정치에 싫증을 내게 되었고, 이 때문에 나라는 어지러워졌다.

이러한 당나라 현종(玄宗)이 비빈(妃嬪)과 궁녀들을 거느리고 연꽃을 구경하다가 양귀비(楊貴妃)를 가리켜 "연꽃의 아름다움도 '말을 이해하는 이 꽃'에는 미치지 못하리라(何如此解語花耶)"고 말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해어지화(解語之花)'라고도 한다. 중국 오대(五代)의 왕인유(王仁裕)가 엮은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다음의 글이 실려 있다.

명황(明皇) 가을 8월에 태액지(太液池)에 천 송이의 흰 연꽃이 피었다. 그 중 몇 가지에는 꽃이 무성하게 피었다. 황제는 양귀비와 더불어 잔치하고 감상했다. 좌우가 감탄하고 부러워했다. 오래도록 감상하다가 황제가 양귀비를 가리키며 좌우에게 일러 말했다. "내 말을 이해하는 꽃과 견줄 만하도다[爭如我解語花]." 여기서 명황은 당나라의 현종을 가리키는 말이고, 태액지는 장안성(長安城)의 동북간에 있는 성에 인접하여 만든 정원으로 대명궁내(大明宮內)에 있는 연못이다. 이 태액지에 피어 있는 연꽃의 아름다움에 취해 모두들 넋을 잃고 바라보자, 현종이 "연꽃의 아름다움도 말을 알아듣는 이 꽃(양귀비)에는 비할 바가 못 된다"고 하여 양귀비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표현했던 것이다.

양귀비는 촉주(蜀州) 사호(司戶)였던 양현담(楊玄啖)의 딸로, 어렸을 때의 이름은 옥환(玉環)이었다. 일찍 부모를 여읜 그녀는 숙부 밑에서 자랐다. 원래 양귀비는 현종의 18번째 아들인 수왕(壽王)의 비(妃)였으나 무혜비(武惠妃)를 잃은 현종의 눈에 띄어 그녀의 나이 27세 때 귀비(貴妃)로 책봉되었다. 그후 현종의 총애를 받아 그 일족이 모두 높은 벼슬에 오르는 등 영화를 누렸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 피난가던 도중 길가의 불당에서 목매어 죽임을 당하였다.

[유래]
開元天寶遺事(개원천보유사) 王仁裕(왕인유)


관련 한자어

유의어

傾國之色(경국지색) |


開元天寶遺事, 개원천보유사, 미녀, 美女, 기생, 妓生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