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弓之鳥 (상궁지조, shānggōngzhīniǎo)

傷弓之鳥(상궁지조)

伤弓之鸟(shānggōngzhīniǎo)


傷 다칠 상 | 弓 활 궁 | 之 갈 지 | 鳥 새 조,땅 이름 작,섬 도 |


활에 놀란 새, 즉 활에 상처(傷處)를 입은 새는 굽은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①한번 놀란 사람이 조그만 일에도 겁을 내어 위축(萎縮)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②어떤 일에 봉변(逢變)을 당(當)한 뒤에는 뒷일을 경계(警戒)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경궁지조(驚弓之鳥)라고도 한다. '화살에 맞아서 다친 새'라는 뜻으로, 예전에 일어난 일에 놀라서 작고 하찮은 일에도 매우 두려워하여 경계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 전한(前漢) 때 유향(劉向)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나오는 다음 이야기에서 유래하였다.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초(楚)·조(趙)·연(燕)·제(齊)·한(韓)·위(魏) 등 여섯 나라는 합종책으로 최강국인 진(秦)나라에 대항하려고 공수동맹을 맺었다. 조(趙)나라에서는 위가(魏加)를 초나라에 보내 초나라의 승상(丞相) 춘신군(春申君)과 군사동맹에 대하여 논의하게 하였다. 위가는 협상 중에 초나라의 임무군(臨武君)을 군대를 총지휘할 장군으로 정하였다는 춘신군의 말을 듣고 합당하지 않다고 여겼다. 진나라와의 싸움에서 패한 적이 있는 임무군은 늘 진나라를 두려워한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다.

위가는 춘신군에게 "위나라에 활을 잘 쏘는 사람이 왕과 함께 산책 길을 걷고 있을 때 날아가는 기러기들을 보고 화살을 메기지 않고 시위만 당겼는데 맨 뒤에서 날아간 기러기가 놀라서 땅에 떨어졌습니다. 왕이 그 까닭을 물었더니 명궁은 '이 기러기는 지난 날 제가 쏜 화살에 맞아 다친 적이 있는 기러기입니다[傷弓之鳥]. 아직 상처가 아물지 않아 맨 뒤에서 겨우 날아가며 슬프게 우는 소리를 듣고 알아보았습니다. 활의 시위만 당겼는데 그 소리에 놀라 높이 날아가려고 하다가 땅에 떨어졌습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그래서 진나라와 싸워서 졌던 임무군을 장군으로 임명하는 일은 타당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소리에 놀라 땅에 떨어진 기러기를 진나라에 패배한 임무군에 비유한 것이다. 화살에 맞아서 상처가 난 새는 구부러진 나무를 보기만 해도 놀란다는 뜻이다.

[유래]
戰國策(전국책) |


관련 한자어

유의어

懲羹吹虀(징갱취제) | 吳牛喘月(오우천월) | 驚弓之鳥(경궁지조) | 惊弓之鸟(jīnggōngzhīniǎo) |



Tag

戰國策(전국책) :
卷十七•楚策四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