臨渴掘井 (임갈굴정, línkějuéjǐng)

臨渴掘井(임갈굴정)

临渴掘井(lín kě jué jǐng)

臨 임할 임(림) | 渴 목마를 갈, 물 잦을 걸, 물 거슬러 흐를 할 | 掘 팔 굴, 뚫을 궐 | 井 우물 정


'목마른 자가 우물 판다'라는 뜻으로, 준비(準備)없이 일을 당(當)하여 허둥지둥하고 애씀


춘추시대 노(魯) 나라 소공(昭公)이 국내에서 뜻을 이룰 수 없어 제(齊) 나라로 갔다. 제(齊) 나라 경공(景公)은 그를 보자,

"소공(昭公)은 나이도 어린데 나라를 버리고 이곳으로 온 이유가 무엇이오."

소공(昭公)이 대답하기를,

"저는 나이가 어려 많은 사람들이 저를 사랑하고 존귀하게 여깁니다. 그러나 저는 친근(親近)할 수가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저에게 아부하고 가까이 접근해오나 받아들일 수가 없습니다. 실로 무엇인가를 급히 하려고 할 때 아무도 협조해 주는 이가 없고, 누군가가 옹호해 주는 사람도 없습니다. 더욱이 내가 하는 말에 진심으로 대하지 않고 비위를 맞추기에 급급합니다. 이는 마치 가을의 쑥포기에 찬바람이 불어오면 뿌리나 줄기가 다 말라버리지만, 그래도 잎이 푸르러 있지만 이는 순간일 뿐 결국은 가을 서리 찬바람에 모두 뽑혀 말라죽고 말 것입니다."

경공(景公)은 그의 말에 도리가 있다고 여겨 안자(晏子)에게 일러 소공(昭公)을 돌아가게 해서 인군이 되게 한다면 어진 군왕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안자(晏子)가 말하기를,

"대저 물에 빠진 사람은 본래 주의하지 않아서 실족하게 된 것이요, 길을 잃은 사람은 결국 처음에 방향감각을 잃은 탓입니다. 예를 들어 국가에 갑작스런 병난을 당해서야 급히 병기(兵器)를 만든다든가, 음식을 먹다가 목이 막혀서 죽을 지경에 이르러 우물을 파서 물을 가져오게 한들 제아무리 가장 빠른 방법으로 한다고 하여도 이미 때는 늦은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유래

동언해(東言解)

출전

안자춘추(晏子春秋)


관련 한자어

같은 뜻을 가진 한자어 (유의어)

臨耕掘井(임경굴정, 临耕掘井, lín gēng zòng zhóu)
臨 임할 임(림) | 耕 밭 갈 경 | 掘 팔 굴, 뚫을 궐 | 井 우물 정

渴而穿井(갈이천정)

No comments:

Post a Comment